도예 기계와 도구
목차
- 서론
- 도예 기계
2-1 물레
2-2 가마
2-3 토련기
2-4 도판기
2-5 에어컴프레셔
2-6 전동드릴 교반기
2-7 핸드그라인더
2-8 열풍기 - 도예 도구
3-1 손 도구
3-2 유약 도구
3-3 성형 도구
4. 도자기 제작 과정에서 기계와 도구의 활용
4-1. 성형 단계
4-2. 건조 및 다듬기
4-3. 유약 작업
4-4. 소성(굽기) 과정
4-5. 마무리 및 후가공
5. 결론
1. 서론
도자기를 제작하는 과정에는 다양한 기계와 도구가 사용된다. 초보자는 물론 숙련된 도예가도 각종 도구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작업을 진행한다. 본 글에서는 도예 기계와 도구의 종류와 용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본다.
2. 도예 기계
2-1 물레
물레는 도자기의 형태를 잡는 데 필수적인 기계이다. 크게 수동 물레와 전동 물레로 나뉜다.
- 수동 물레: 발로 돌리는 방식으로 전통적인 제작 기법에 사용된다.
- 전동 물레: 전기 모터로 회전하여 속도 조절이 가능하며, 현대 도예가들에게 널리 사용된다.
- 사용법: 속도를 조절하면서 점토를 가운데로 모은 후, 손과 도구를 이용해 원하는 형태를 만든다.
2-2 가마
가마는 도자기를 고온에서 구워 단단하게 만드는 장치이다. 종류에 따라 연료와 가열 방식이 다르다.
- 전기가마: 전기로 가열되며 온도 조절이 쉬워 가정용이나 소규모 공방에서 많이 사용된다.
- 가스가마: 가스로 가열되며 온도를 높이기 쉬워 대형 작업장에서 활용된다.
- 장작가마: 전통 방식으로 장작을 연료로 사용하며, 유약과 흙에 독특한 효과를 준다.
* 사용법: 원하는 온도로 설정 후 도자기를 가마에 재임하고, 정해진 시간 동안 구운다.
- 초벌 : 850도, 재벌 :1250도 소성을 기본으로 하지만 소지, 유약, 안료 등의 재료에 따라 적합한 온도를 맞춰야한다.
- 가마의 크기 단위인 **루베(m³, 입방미터)**는 가마 내부의 용량을 측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. 1루베는 **1m × 1m × 1m(1세제곱미터)**의 부피를 의미하며, 가마에 넣을 수 있는 작품의 양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.
일반적으로 도예 가마는 0.1루베(100리터)에서 1루베 이상의 크기로 제작되며, 소형 가마(0.1~0.3루베)는 개인 작업실이나 소규모 공방에서 사용되고, 대형 가마(1루베 이상)는 대량 생산이 필요한 공장에서 주로 활용된다.
가마를 선택할 때는 루베 단위를 고려하여 제작할 도자기의 크기와 양에 맞는 용량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.
2-3 토련기
점토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고 점토를 균일한 상태로 만드는 기계이다.
- 사용법: 점토를 투입구에 넣고 기계를 작동하면, 공기가 제거된 균일한 점토가 배출된다.
- 토련기의 마력은 점토를 반죽하는 힘과 속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다.
일반적으로 1~5마력(HP, Horsepower) 범위에서 사용되며, 마력이 높을수록 더 많은 양의 점토를 빠르게 반죽할 수 있다.
소형 토련기(1~2HP): 개인 작업실이나 소규모 공방에서 적은 양의 점토를 정련할 때 적합하다.
중형 토련기(3~4HP): 하루 작업량이 많은 중급 공방에서 사용되며, 보다 균일한 점토 혼합이 가능하다.
대형 토련기(5HP 이상): 대량 생산을 위한 산업용으로, 많은 점토를 빠르게 반죽하고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.
마력이 높을수록 점토를 더 균일하게 혼합하고 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, 작업의 품질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.
2-4 도판기
점토를 일정한 두께의 판 형태로 밀어내는 기계로, 판 성형 기법에 필수적이다.
- 사용법: 점토를 도판기에 놓고 롤러를 조정해 원하는 두께로 밀어낸다.
2-5 에어컴프레셔
공기를 이용해 유약을 분사하는 기계로, 균일한 유약 코팅이 가능하다.
- 사용법: 유약을 분무기에 넣고 압력을 조절한 후 도자기 표면에 고르게 분사한다.
2-6 전동드릴 교반기
유약이나 점토 슬립을 균일하게 섞는 데 사용하는 전동 도구이다.
- 사용법: 드릴에 교반기를 장착한 후, 용기에 담긴 유약을 균일하게 섞는다.
2-7 핸드그라인더
구워진 도자기의 표면을 다듬거나 필요 없는 부분을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.
- 사용법: 원하는 부분에 맞춰 적절한 속도로 표면을 연마한다.
2-8 열풍기
도자기의 건조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유약 작업 후 표면을 건조하는 데 사용된다.
- 사용법: 일정한 거리에서 열풍을 가해 도자기의 표면을 빠르게 말린다.
3. 도예 도구
3-1 손 도구
도자기의 세부 작업을 위한 다양한 손 도구가 있다.
- 칼: 점토를 자르거나 조각하는 데 사용된다.
- 사용법: 원하는 형태로 자르거나 섬세한 조각을 할 때 활용한다.
- 스폰지: 표면을 부드럽게 다듬거나 수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.
- 사용법: 적당히 물을 적신 후 표면을 닦아 부드럽게 만든다.
- 나무 헤라: 점토를 다듬거나 형태를 조절할 때 사용된다.
- 사용법: 점토를 밀거나 다듬는 데 활용한다.
- 철제 와이어: 점토 덩어리를 자를 때 사용되는 철사 도구이다.
- 사용법: 점토를 일정한 크기로 자를 때 와이어를 당겨 절단한다.
3-2 유약 도구
유약을 바를 때는 균일한 코팅을 위해 다양한 도구가 사용된다.
- 붓: 작은 작업이나 정교한 디테일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.
- 사용법: 유약을 묻힌 후 부드럽게 표면에 바른다.
- 분무기: 유약을 균일하게 도포하는 데 유용하다.
- 사용법: 일정한 거리에서 유약을 분사하여 균일한 코팅을 만든다.
- 집게: 유약을 묻히는 과정에서 도자기를 잡는 역할을 한다.
- 사용법: 도자기를 잡고 유약에 담근 후, 표면의 유약을 조정한다.
3-3 성형 도구
- 석고 몰드(거푸집): 동일한 형태의 도자기를 제작할 때 사용된다.
- 사용법: 점토를 몰드에 채운 후 일정 시간 건조시켜 형태를 만든다.
- 판넬 판: 점토를 일정한 두께로 밀어낼 때 사용된다.
- 사용법: 점토를 판넬 위에 올려 놓고 롤러로 밀어준다.
- 롤러: 점토를 얇게 펴는 데 유용하다.
- 사용법: 점토를 평평한 곳에 두고 원하는 두께까지 밀어준다.
4. 도자기 제작 과정에서 기계와 도구의 활용
도자기 제작은 다양한 기계와 도구의 조합을 통해 이루어진다. 각 단계에서 적절한 기계를 활용하면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증가한다.
4-1 성형 단계
도자기 제작의 첫 번째 단계는 점토를 원하는 형태로 만드는 것이다. 이 과정에서 물레, 도판기, 몰드 등이 사용된다. 물레를 사용하면 대칭적인 형태를 쉽게 만들 수 있으며, 도판기는 일정한 두께의 점토를 얻는 데 유용하다. 몰드를 이용하면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.
4-2 건조 및 다듬기
성형된 도자기는 충분한 시간을 두고 건조해야 한다. 건조 과정에서 열풍기를 사용하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. 또한, 핸드그라인더와 같은 연마 도구를 이용해 표면을 부드럽게 다듬는다.
4-3 유약 작업
건조된 도자기에 유약을 입히는 과정에서는 붓, 분무기, 에어컴프레셔 등이 사용된다. 분무기와 에어컴프레셔를 이용하면 균일한 유약층을 형성할 수 있다. 작은 부분은 붓을 이용해 정교하게 유약을 바른다.
4-4 소성(굽기) 과정
유약을 바른 도자기는 가마에서 일정 온도로 구워진다. 이 과정에서 전기가마, 가스가마, 장작가마 등이 사용된다. 전기가마는 조작이 간편하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쉬우며, 가스가마는 높은 온도를 쉽게 도달할 수 있다. 장작가마는 독특한 질감을 제공한다.
4-5 마무리 및 후가공
소성이 끝난 도자기는 마지막으로 표면을 점검하고 다듬는 과정을 거친다. 필요에 따라 핸드그라인더를 사용해 거친 부분을 연마하고, 장식 작업을 추가할 수 있다.
5. 결론
도자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계와 도구가 필요하다. 각 도구와 기계는 사용자의 목적과 작업 방식에 따라 선택된다. 이를 잘 활용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창작 활동을 할 수 있다. 또한, 기계와 도구를 적절히 배합하면 작업의 정밀도를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. 도예는 창의성과 기술이 조화를 이루는 예술로, 각종 도구와 기계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완성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다.
출처
https://ceramate.co.kr/main/index.php
대원도재
대원도재
ceramate.co.kr
클레이어
::도예재료, 도자기재료, 물감,유약,던컨,핸드페인팅, 도소매::
clayer.co.kr
'-ceramic-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도자기 공부 8. 가마의 종류와 특징. (2) | 2025.03.23 |
---|---|
도자기 공부 7. 해외의 전통 도자기_중국, 일본, 이탈리아, 이란 (4) | 2025.03.20 |
도자기 공부 5. 도자기에 생기는 결점 (0) | 2025.03.17 |
도재상 추천! #도자재료 구매하는 곳 (0) | 2025.03.17 |
도자기 공부 4. 도자기의 원료 (0) | 2025.03.17 |